HOME
ENGLISH
학부소개
학부장 인사말
연혁
오시는길
교육/학부
학사일정
학부소개
학부현황
졸업요건
학사제도
공학교육인증(ABEEK)
대학원 소개
화학공학과
고분자공학과
구성원
교수진
명예교수
교직원
연구
화학공정
에너지&환경
바이오
전자재료 & 디스플레이 재료 기술
대학생활
교과과정
연례행사
학생활동
장학금
커뮤니티
학부소식
공지사항
취업정보
취업현황
포토갤러리
연구
화학공정
에너지&환경
바이오
전자재료 &
디스플레이 재료 기술
재료기술
HOME
연구
재료기술
재료 기술 Materials Technology
엔지니어링 유기소재는 각종 전자재료, 환경용 맴브레인, 유무기 복합체용 나노재료, 지능형 의약품 재료, 차세대 섬유/고분자소재에 이르기까지 정보통신, 에너지/환경, 나노, 바이오/의학 분야를 아우르는 첨단공학분야의 핵심기술임. 이는 화학공학이 가지는 분자시스템에 대한 근원적 이해와 이를 대형화, 공정화, 최적화 시킬 수 있는 독보적 학문특성에 기인하고 있음. 성균관대 화학공학부의 재료기술 연구분야는 유기소재의 합성, 특성 분석 및 시뮬레이션, 응용소자의 구현, 대규모 양산기술을 포함하는 일원화된 융합형 연구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지속성장이 가능한 기술구현'이라는 가치 하에서, 유기 디스플레이 소재기술, 연료전지용 멤브레인 기술, 고물성 나노복합소재 기술, 진단/치료 동시형 바이오 소재기술, 고기능성 텍스타일 기술 등이 특성화 연구주제로 탐구되고 있음. 재료기술 분야의 졸업생들은 국내외 유수의 화학/바이오 소재기업 및 전자소자 기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대규모의 국가 및 기업체 연구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해 원천 소재기술의 확보와 혁신 공정기술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성물질연구실
주요연구분야
■ 콜로이드 입자 합성 및 조립
■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CO2제거
■ 용액기반 산화물 반도체
콜로이드 입자 합성 및 조립
입자가 용매에 안정하게 분산된 상태를 콜로이드라고 부르며, 크기는 마이크로 미터 이하이다. 입자의 크기가 빛의 파장과 유사한 경우 빛을 강하게 상호작용하며, 이러한 입자들이 규칙적인 구조를 이룰 경우 반복적인 상호작용과 공명 현상으로 인해 새로운 광학적 성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콜로이드 입자의 합성과 조립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금속 콜로이드의 경우에도 크기와 형상을 제어하면 표면 플라즈몬 광학 특성을 더욱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컬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콜로이드 입자는 전기장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검은색과 희색의 표면 전하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흑백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높은 반사율을 가짐으로써 종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균일한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하면 이러한 전자종이에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CO2제조 및 암진단 센서 개발
콜로이드 입자의 구조체에 무기물 반응을 도입하여, 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물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거대기공에서는 기체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다. 이를 활용하여 촉매반응, 이산화탄소의 제거 등에 활용하고자 하고 있으며, 다공성 물질에 기체와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물질을 도입하du, 호흡 분석을 통해 폐암진단 소자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재료 기술 Materials Technology
엔지니어링 유기소재는 각종 전자재료, 환경용 맴브레인, 유무기 복합체용 나노재료, 지능형 의약품 재료, 차세대 섬유/고분자소재에 이르기까지 정보통신, 에너지/환경, 나노, 바이오/의학 분야를 아우르는 첨단공학분야의 핵심기술임. 이는 화학공학이 가지는 분자시스템에 대한 근원적 이해와 이를 대형화, 공정화, 최적화 시킬 수 있는 독보적 학문특성에 기인하고 있음. 성균관대 화학공학부의 재료기술 연구분야는 유기소재의 합성, 특성 분석 및 시뮬레이션, 응용소자의 구현, 대규모 양산기술을 포함하는 일원화된 융합형 연구체계를 구축하고 있음. 최근 화두로 떠오르는 '지속성장이 가능한 기술구현'이라는 가치 하에서, 유기 디스플레이 소재기술, 연료전지용 멤브레인 기술, 고물성 나노복합소재 기술, 진단/치료 동시형 바이오 소재기술, 고기능성 텍스타일 기술 등이 특성화 연구주제로 탐구되고 있음. 재료기술 분야의 졸업생들은 국내외 유수의 화학/바이오 소재기업 및 전자소자 기업에 진출하고 있으며, 대규모의 국가 및 기업체 연구프로젝트의 수행을 통해 원천 소재기술의 확보와 혁신 공정기술의 개발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연성물질연구실
주요연구분야
■ 콜로이드 입자 합성 및 조립
■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CO2제거
■ 용액기반 산화물 반도체
콜로이드 입자 합성 및 조립
입자가 용매에 안정하게 분산된 상태를 콜로이드라고 부르며, 크기는 마이크로 미터 이하이다. 입자의 크기가 빛의 파장과 유사한 경우 빛을 강하게 상호작용하며, 이러한 입자들이 규칙적인 구조를 이룰 경우 반복적인 상호작용과 공명 현상으로 인해 새로운 광학적 성질을 구현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콜로이드 입자의 합성과 조립에 관한 연구를 하고 있다. 또한, 금속 콜로이드의 경우에도 크기와 형상을 제어하면 표면 플라즈몬 광학 특성을 더욱 더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으므로 이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컬러 전자종이 디스플레이
콜로이드 입자는 전기장에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검은색과 희색의 표면 전하를 조절하여 선택적으로 이동시킴으로서 흑백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는 높은 반사율을 가짐으로써 종이와 유사한 특성을 가진다. 균일한 콜로이드 입자를 이용하면 이러한 전자종이에 색을 구현할 수 있다.
다공성 물질을 이용한 CO2제조 및 암진단 센서 개발
콜로이드 입자의 구조체에 무기물 반응을 도입하여, 표면적이 높은 다공성 물질을 만들 수 있다. 또한, 거대기공에서는 기체의 이동속도가 상대적으로 매우 빠르다. 이를 활용하여 촉매반응, 이산화탄소의 제거 등에 활용하고자 하고 있으며, 다공성 물질에 기체와 반응하여 색이 변하는 물질을 도입하du, 호흡 분석을 통해 폐암진단 소자에 적용하는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수정
취소
440-746 경기도 수원시 장안구 서부로 2066 성균관대학교 화학공학/고분자공학부 | 대표전화 031-290-7240,7310 팩스 031-290-7272
COPYRIGHT(c) 2013 SUNGKYUNKWAN UNIVERSITY SCHOOL OF CHEMICAL ENGINEERING ALL RIGHTS RESERVED. Made by Hicomp Int.